티스토리 뷰
목차
근로장려금 조회 화면에서 ‘미환수액’이 뜨면 당황스럽죠. 이 글은 미환수액의 정확한 뜻과 0원이 표시되는 이유, 환수(차감)액과의 차이, 홈택스·손택스 조회 경로, 그리고 대응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미환수액 뜻과 헷갈리기 쉬운 포인트
미환수액은 말 그대로 아직 환수(회수)되지 않은 금액이라는 시스템 상의 항목입니다. 문제는 실제 화면에서 이 값이 반기 기지급액과 동일하게 보이거나 0원으로 표시되어 의미 해석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.
• ‘미환수액’은 항상 ‘지금 당장 납부해야 할 돈’이라는 뜻은 아닙니다.
•
환수(차감)액
, 반기 기지급액
, 환급금액
을 함께 봐야 정확히 해석할 수 있습니다.• 최종 판단은 결정통지서 내용과 세무서 안내를 기준으로 하세요.
환수(차감)액·반기 기지급액·환급금액과의 차이
항목 | 뜻 | 주의/팁 |
---|---|---|
반기 기지급액 | 전년도 반기에 미리 받은 근로장려금 | 정산 시 기준으로 표시됩니다. |
환수(차감)액 | 과다 지급 등으로 돌려줘야 하는 금액 | 0원이면 즉시 납부 대상 없음 |
환급금액 | 정산 결과 추가로 받을 금액 | 0원이면 추가 지급 없음 |
미환수액 | 아직 환수되지 않은 금액(시스템 표기) | 다른 항목과 함께 해석 필요 |
홈택스·손택스에서 미환수액 확인 방법
홈택스(PC)
- 로그인 → 조회/발급 또는 근로·자녀장려금 메뉴 선택
- 심사진행상황 조회에서 항목 확인
- 결정통지서 PDF 내려받아 보관
손택스(모바일)
- 손택스 앱 로그인 → My홈택스 > 근로·자녀장려금
- 심사진행현황에서 동일 항목 확인
자주 나오는 화면 조합 & 해석
① 결정금액 0원 + 환수(차감)액 0원 + 미환수액(=반기 기지급액)
추가 지급·환수 없음. 당장 납부할 금액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
② 환수(차감)액 > 0원
과다 지급 등으로 환수 대상 발생. 고지서 안내에 따라 납부 필요.
③ 환급금액 > 0원
추가 지급 예정. 단, 체납이 있으면 충당 후 지급될 수 있음.
근로장려금 미환수액 뜻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미환수액이 0원이면 무슨 뜻인가요?
추가 환수 없이 정산이 끝났다는 의미입니다. 반드시 환수(차감)액=0원인지 확인하세요.
Q2. 미환수액이 반기 기지급액과 같게 뜨면 토해내야 하나요?
반드시 그런 건 아닙니다. 환수(차감)액이 0원이면 대체로 납부 대상은 아닙니다. 최종 판단은 결정통지서 기준입니다.
Q3. 환수 통보를 받았는데 전액 바로 내야 하나요?
고지서 확인 후 납부하되, 부담되면 세무서에 분할납부 문의 가능합니다.
Q4. 어디서 확인하나요?
홈택스(근로·자녀장려금 → 심사진행현황/결정내역) 또는 손택스(My홈택스 → 근로·자녀장려금)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Q5. 체납이 있으면 장려금에서 자동 차감되나요?
환급금은 일정 한도로 체납에 충당될 수 있습니다. 안내문을 꼭 확인하세요.
근로장려금 미환수액 뜻
※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, 구체 사례는 관할 세무서·국세청 안내를 우선하세요.